본문 바로가기

수학/미적분학

미적분 (6) - 미적분의 기본 정리

글 리스트

극한: http://dimenchoi.tistory.com/18
미분(1) - 미분의 정의와 계산법: http://dimenchoi.tistory.com/19
미분(2) - 미분 공식: https://dimenchoi.tistory.com/33
적분(1) - 적분의 의미와 부정적분: https://dimenchoi.tistory.com/34
적분(2) - 정적분의 정의: https://dimenchoi.tistory.com/35
적분(3) - 미적분의 기본 정리: https://dimenchoi.tistory.com/36

저번에는 정적분의 정의를 소개해 드렸는데요,

오늘은 이 정적분이 부정적분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 이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적분의 기본 정리

갑자기 엄청 간지나는 용어가 떴습니다. "미적분의 기본 정리"

그런데 사실 이미 우리가 아는 내용입니다. 제가 정적분 편에서 미리 소개해 드렸거든요.

\[ \int^b_a f(x)dx = F(b) - F(a) \quad (F(x)\text{는 } f(x)\text{의 부정적분}) \]

위의 식이 바로 ​미적분의 기본 정리​입니다(정확히는 두번째 미적분의 기본 정리입니다. 첫번째는 이후에 나옵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는 정적분의 정의가 아닌 정적분의 성질입니다. 정적분의 정의는 다음과 같았죠.

\[ \int^b_a f(x) dx = \lim_{n \rightarrow \infty} \sum_{k=1}^{n} f(x_k) \frac{b-a}{n} \quad \left( x_k = a+k\frac{b-a}{n} \right) \]

그렇다면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해서 위의 미적분의 기본 정리를 증명해보도록 합시다!

 

 

미적분의 기본 정리의 증명

 

$x$축 위의 임의의 점 $t$를 설정하겠습니다. (다른 참고서에서는 $t$축 위의 임의의 점 $x$를 설정하기도 하는데 별로 상관없습니다)

여기서 저 색칠된 면적 $S(t)$를 정적분의 정의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 S(t) = \int^t_a f(x) dx \]

이를 위해 $t$로부터 작은 거리 $\Delta t$만큼 떨어져 있는 넓이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여기서 $S(t+\Delta t)$와 $S(t)$의 넓이의 차이를 $\Delta S$로 정의하면, $\Delta S$는 다음 면적과 같습니다.

 

여기서 $t$부터 $t+\Delta t$ 중 최대 높이를 $M$, 최소 높이를 $m$이라고 합시다.

그렇다면 $M\Delta t$는 다음 넓이와 같고

$m\Delta t$는 다음 넓이와 같으며

$M\Delta t$, $m\Delta t$, $\Delta S$의 크기(넓이)는 다음 그림에서 보이듯이 $m\Delta t \leq \Delta S \leq M\Delta t$입니다.

$m\Delta t \leq \Delta S \leq M\Delta t$. 이 부등식에서 양변을 $\Delta t$로 나누면 $m \leq \Delta S/\Delta t \leq M$ 입니다.

 

자 이제 준비과정은 끝났습니다. 여기서 $\Delta t$를 0으로 보내면 정적분의 기본 정리를 보일 수 있습니다.
즉 부등식 $\lim_{\Delta t \rightarrow 0} m \leq \lim_{\Delta t \rightarrow 0} \frac{\Delta S}{\Delta t}\leq \lim_{\Delta t \rightarrow 0} M$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Delta t$가 0으로 가면 $m$과 $M$은 $f(t)$로 수렴합니다.
부등식의 왼쪽과 오른쪽의 $f(t)$로 수렴하니 가운데 $\lim_{\Delta t \rightarrow 0} \frac{\Delta S}{\Delta t}$도 $f(t)$로 수렴할 것입니다.
한편 미분의 정의에 의해 $\lim_{\Delta t \rightarrow 0} \frac{\Delta S}{\Delta t}=S'(t)$입니다.

따라서 $S'(t) = f(t)$가 성립합니다!

 

혹시 아까전 까막득한 위에서

\[ S(t) = \int^t_a f(x)dx \]

라고 정의한 걸 기억하시련지요. 이 값을 S'(t)=f(t)에 넣어줍시다.

\[ S'(t) = \frac{d}{dx} \int^t_a f(x)dx \]

바로 이 식이 첫번째 정적분의 기본 정리입니다.

두번째 정적분의 기본 정리를 향해 계속 달려봅시다.

$S'(t) = f(t)$이므로 양변을 부정적분하면 $S(t) = F(t) + C$입니다.

여기서 $F(t)$는 $f(t)$의 원시함수고, $C$는 적분상수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t=a$일 때 $S(t)=0$이 됨을 알고 있습니다. ($t=a$이면 그냥 선이라 넓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t=a$를 대입하면 $S(a) = 0 = F(a) + C$가 됩니다.

따라서 $C = -F(a)$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진짜 마지막입니다. 이 $C=-F(a)$ 값을 $S(t)=F(t)+C$에 대입하면

\[ S(t) = F(t) - F(a) \]

가 나옵니다.

여기서 $t$를 $b$로 바꾸고 $S(t)$의 정의를 다시 적어주면 ​미적분의 기본 정리가 나옵니다!

\[ \int^b_a f(x)dx = F(b) - F(a) \]

증명 끝..!

 

이대로 끝내면 섭섭하니까 정적분 문제 하나만 풀고 미적분 시리즈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저기 색칠한 넓이를 구해봅시다.

\[ \text(넓이) = \int^3_1 x^2 dx = \frac{1}{3}3^3 - \frac{1}{3}1^3 = \frac{26}{3} \]

가끔씩 이렇게 정적분을 이용해 넓이를 구했는데 마이너스 값이 나올 때가 있습니다.

이를 테면 이런 경우죠.

 

여기서 색칠한 넓이를 구해보면

\[ \text(넓이) = \int^3_1 -x^2 dx = -\frac{1}{3}3^3 - \left(-\frac{1}{3}1^3\right) = -\frac{26}{3}? \]
이렇게 $-y$축으로 가있는 넓이는 정적분을 이용해 구하면 마이너스 값이 나옵니다.

그래서 $-y$축으로 가있는 넓이는 정적분을 한 후 마이너스를 곱해야 합니다.

\[ \text(넓이) = -\int^3_1 -x^2 dx = \frac{1}{3}3^3 - \frac{1}{3}1^3 = \frac{26}{3} \]

한편 이렇게 구불구불해서 $+y$축으로도 넓이가 가있고 $-y$축으로 넓이가 있는 경우에는

①의 넓이는 정적분 값을 그대로 쓰고 ②의 넓이는 정적분 값에 마이너스를 취해줘야 합니다.

 

 

이를 보다 일반적으로 표기하자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a\text{부터 } b\text{까지의 넓이} = \int^b_a |f(x)|dx \]

 

이로써 미적분 시리즈를 모두 마칩니다.

지금까지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 너무 감사하고요, 그 어렵다는 미적분을 이해하신 것을 축하합니다!

한가지 당부드릴 점은, 제가 보여준 미적분은 미적분의 빙산의 일각입니다. 말 그대로.

그래서 어디가서 "나는 미적분을 정복했다"라고 자만하지 마시고,

항상 겸손한 자세로 지내며 미적분을 더 깊게 공부하며 미적분의 진짜 참재미를 맛 보실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 Dimen 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