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받는 질문 중 복소수와 관련된 것이 많습니다.
- $\sqrt{i}$ 는 뭔가요?
- $\sqrt{\sqrt{i}}$는 뭔가요?
- $i^i$는 뭔가요?
사실 이 질문들은 근본적으로 이것을 묻고 있습니다.
복소수의 거듭제곱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왜냐하면 $\sqrt{i}$도 $i^{1/2}$로 쓸 수 있고, $\sqrt{\sqrt{i}}$도 $i^{1/4}$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위의 질문들은 근본적으로 "복소수의 거듭제곱을 정의할 수 있나"에 대해서 물어보는 겁니다.
그리고 제 저번 포스팅을 읽으신 분이라면 부분적으로나마나 복소수 지수는 정의할 수 있다라는 것에 대해서 알 것입니다.
바로 요 식에서 복소수 지수가 처음으로 등장했었죠. (https://dimenchoi.tistory.com/31)
\[ e^{ix} = i\sin x + \cos x \]
오일러의 공식
바로 좌변에 허수 $i$가 지수로 들어가 있습니다.
즉 거듭제곱이라는 연산이 복소수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해주죠.
예를 들어서 $x=\pi$ 를 대입해주면..
\[ e^{i\pi} = -1 \]
자칭타칭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식
이 됩니다. 여기서 지수를 복소수까지 확장했을 때는 양수의 거듭제곱도 음수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죠.
그런데 이 식만으로는 밑이 $e$이고 지수가 순허수($-2.5i$, $3i$ 등 $ai$꼴의 복소수)인 복소수 지수밖에 정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죠.
그렇다면 이번에 이 식을 적당히 변형해서 보다 일반적으로 복소수 지수에 대해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지수부터 고치자
일단 지수가 순허수밖에 안된다는 점부터 수정해 줍시다.
이건 쉬워요. 왜냐하면 양변에 $e^a$만 곱해주면 되거든용
\[ \begin{align*}
e^{bi} &= i \sin b + \cos b \\
e^{a+bi} &= e^a(i \sin b + \cos b)
\end{align*} \]
밑도 고쳐야지
알겠어요 밑도 고칠게요.
$a=p \ln x, b = q \ln x$로 치환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 \begin{align*}
e^{p \ln x + q \ln x} &= e^{(p+qi)\ln x} \\
&= x^{(p+qi)}
\end{align*} \]
따라서 다음 식이 성립하게 됩니다.
\[ \begin{align*}
x^{p+qi} &= e^{p \ln x + qi \ln x} \\
&= e^{p\ln x}(i \sin (q \ln x) + \cos (q \ln x))
\end{align*} \]
이렇게 하면 밑이 실수고 지수가 복소수인 모든 수를 정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토대로 $2^{3-i}$ 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begin{align*}
2^{3-i} &= e^{3\ln 2}(i\sin(-\ln 2) \cos(-\ln 2)) \\
&= 6.1539... - 5.111... i
\end{align*} \]
계산하면 위와 같은 값이 나옵니다.
그럼 실제로도 $2^{3-i}$가 저렇게 나오는지 한번 확인해 볼까요?
갓 울프럼 알파에 넣어보니 과연 $2^{3-i} = 6.153... - 5.111... i$를 내뱉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근데 밑도 복소수일 때에는..?
이제 "좋아 난 복소수 지수를 배웠어! 한번 $i$의 $i$제곱을 계산해 봐야지!!"하시는 분들이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실제로 $i^i$를 위의 정의대로 계산해 보면...
\[ \begin{align*}
i^i &= i^{0+1i} &= e^{0\ln i}(i \sin(1\cdot \ln i) + \cos(1\cdot \ln i)) \\
&= \cdots ?
\end{align*} \]
;;;다소 난감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바로 복소수 로그가 튀어나와 버린다는 점이죠.;;;
하지만 괜찮습니다! 복소수 지수도 정의했는데 복소수 로그 까짓것 그냥 해버리면 되죠!
$\ln(a+bi)$를 구해보도록 합시다.
만능 오일러 공식의 양변에 $r$을 곱해 보겠습니다.
\[ re^{ix} = r(i \sin x + \cos x) \]
여기서 $r$과 $x$의 각각 다음 값들을 대입해 보겠습니다.
(이 치환이 좀 뜬금없어 보일 수도 있는데, 극형식의 개념에서 빌려오는 겁니다)
\[ r=\sqrt{a^2+b^2}, \quad \tan x = \frac{a}{b} \]
$\tan x=a/b$일 때 $\sin x, \cos x$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값들을 오일러 공식에 대입해 보면..
\[ \begin{align*}
re^{ix} &= r(i \sin x + \cos x) \\
&= \sqrt{a^2+b^2}\left( i\frac{a}{\sqrt{a^2+b^2}}+\frac{b}{\sqrt{a^2+b^2}} \right) \\
&= ai + b
\end{align*} \]
따라서 양변에 로그를 씌우면 우리가 원했던 복소수 로그값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 \begin{align*}
\ln(ai + b) &= \ln(re^{ix}) \\
&= \ln(r) + \ln e^{ix} \\
&= ix + \ln r \\ \\
\text{where } r=\sqrt{a^2+b^2}&,\quad x=\tan^{-1}\frac{a}{b} \end{align*} \]
($\tan^{-1}(a/b)$는 $\tan x = a/b$ 인 $x$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다시 한번 $i^i$값을 계산해 봅시다.
\[ \begin{align*}
i^i &= i^{0+1i} \\
&= e^{0\ln i}(i \sin(1\cdot \ln i) + \cos(1\cdot \ln i)) \\
\ln i &= \ln(1i+0) \\
&= i\left( \tan^{-1}\frac{1}{0} \right) + \ln(\sqrt{1^2+0^2})
\end{align*} \]
여기서 $\tan^{-1}(1/0)$가 튀어나오게 됩니다.
"$1/0$ 같은 건 없잖아요..?! 그러면 $i^i$는 정의되지 않는 건가요?"
아뇨, $\tan \pi/2 \rightarrow \infty$ 라는 점을 고려하면, $\tan^{-1}(1/0)$은 $\pi/2$로 쓸 수 있습니다. 따라서...
\[ \ln i = i\frac{\pi}{2} + \ln i = \frac{\pi i}{2} \]
입니다. 그래서 이를 대입해 보면...
\[ i^i = i\sin\left( \frac{\pi}{2}i \right) + \cos\left( \frac{pi}{2}i \right) \]
가 되는데요.....
".....저기 지금 삼각함수 안에 복소수가 들어가 있는데요..? 잘못된 거 아니에요..?"
휴우...정말이지 복소수 지수는 정의하기 쉽지 않은 거네요...
사실 삼각함수도 복소수를 대입할 수 있습니다.
복소수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http://blog.naver.com/a4gkyum/221019537072)
\[ \sin ix = \frac{e^{-x}-e^x}{2i} \quad \cos ix = \frac{e^{-x}+e^x}{2} \]
그러면 $\sin(\pi i/2)$와 $\cos(\pi i/2)$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sin \frac{i\pi}{2} = \frac{e^{-\frac{\pi}{2}}-e^{\frac{\pi}{2}}}{2i} \quad \cos ix = \frac{e^{-\frac{\pi}{2}}+e^{\frac{\pi}{2}}}{2} \]
요 값들을 쇽쇽 대입해 주면...
\[ \begin{align*}
i^i &= i\sin \left(\frac{\pi}{2}i\right)+\cos \left(\frac{\pi}{2}i\right) \\
&= i\frac{e^{-\frac{\pi}{2}}-e^{\frac{\pi}{2}}}{2i}+\frac{e^{-\frac{\pi}{2}}+e^{\frac{\pi}{2}}}{2} \\
&= \frac{e^{-\frac{\pi}{2}}-e^{\frac{\pi}{2}}+e^{-\frac{\pi}{2}}+e^{\frac{\pi}{2}}}{2} \\
&= e^{-\frac{\pi}{2}}
\end{align*} \]
이렇게 해서 기나긴 과정 끝에 다음과 같이 놀랍고 아름다운 결과를 얻게 되었습니다.
\[ i^i = e^{-\frac{\pi}{2}} \]
이로부터 $i^i$가 실수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제가 특히나 좋아하는 식입니다.
왜냐하면 이 값을 실제로 계산해 보면 약 $0.207...$이 나옵니다.
이거 제 생일입니다 >< (2월 7일생)
복소수 거듭제곱에 대한 잡담 좀 더
어렵사리 일반적인 복소수 지수를 계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만, 복소수 지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복소수 거듭제곱은 여러 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아까전에 $\tan \pi/2 \rightarrow \infty$라는 점을 고려해 $x=\pi/2$로 정했습니다만,
일반각의 개념을 도입하면 $x=5\pi /2, 9\pi /2, 13\pi /2, \cdots , (\pi/2)+2n\pi$ 인 모든 $x$에 대해 $\tan x \rightarrow \infty$ 가 나옵니다.
따라서 $x$는 여러 개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소수 거듭제곱도 여러 개의 값이 나올 수 있는 것이죠.
그럼에도 복소수 지수는 매우 강력한 연산입니다.
왜냐하면 복소수 지수가 복소평면이라는 분야로 넘어오게 되면, 복소수 지수가 회전을 나타내는 연산으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복소수 지수가 여러 값이 나오는 것은 여러 번 회전했을 때 같은 위치에 다다르는 것과 대응됩니다.
일단 저희 블로그에서 복소평면은 다룬 적도 없고, 왜 복소수 지수가 회전을 나타내는지 설명하자면
이미 충분히 긴 포스팅이 두배로 길어질 것 같기 때문에 일단은 여기서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Dimen이었습니다. 20000!
'수학 > 미적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토어 함수 (Cantor Function) (0) | 2019.11.23 |
---|---|
다르부의 정리 (0) | 2019.10.07 |
미적분 (6) - 미적분의 기본 정리 (20) | 2019.10.03 |
미적분 (5) - 정적분의 정의 (7) | 2019.09.30 |
미적분 (4) - 적분의 의미와 부정적분 (3) | 2019.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