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

미적분 (2) - 미분의 정의 글 리스트 극한: http://dimenchoi.tistory.com/18 미분(1) - 미분의 정의와 계산법: http://dimenchoi.tistory.com/19 미분(2) - 미분 공식: https://dimenchoi.tistory.com/33 적분(1) - 적분의 의미와 부정적분: https://dimenchoi.tistory.com/34 적분(2) - 정적분의 정의: https://dimenchoi.tistory.com/35 적분(3) - 미적분의 기본 정리: https://dimenchoi.tistory.com/36 ​초딩때 했던 미분 미분이라고 하면 난해한 기호로 짬뽕이 된 엄청난 수학을 생각하실 텐데요, 일단 미분이 그렇게 어마무시한 수학은 절대 아닙니다. 사실 초딩때부터 다뤄왔던 개.. 더보기
미적분 (1) - 극한 글 리스트 극한: http://dimenchoi.tistory.com/18 미분(1) - 미분의 정의와 계산법: http://dimenchoi.tistory.com/19 미분(2) - 미분 공식: https://dimenchoi.tistory.com/33 적분(1) - 적분의 의미와 부정적분: https://dimenchoi.tistory.com/34 적분(2) - 정적분의 정의: https://dimenchoi.tistory.com/35 적분(3) - 미적분의 기본 정리: https://dimenchoi.tistory.com/36 안녕하세요, 미적분 시리즈에 오신 여러분들을 환영합니다! 미적분은 이과생들의 필수 소양입니다. 미적분은 변화, 기울기, 미시, 넓이 등을 다루는 학문으로, 고급수학으로 나서는.. 더보기
페아노 공리계 - 1+1=2 증명하기 수학에 문외한이라고 해도 한번쯤은 읽어보셨을 법한 책 이 책의 뒷부분에 "이게 1+1=2의 증명이야! 뙇!" 하면서 이런 증명이 나오는데요 이로 인해 '1+1=2'를 증명하는것이 더럽게 어렵다'는 소문이 한국(을 넘어 전 세계)에 쫙 퍼지게 되었죠. 근데 사실은, 저 위의 증명은 1+1=2를 증명하기 위한 증명이 아닌, 기호 논리학에 대해 연구하다가 번외적으로 나온 증명입니다. 즉 위 증명은 목적이 1+1=2의 증명이 아닌 논리기호학의 정의에 있기 때문에 쓸데없이 복잡하고 많이 돌아간 증명입니다. 그니까 사실 1+1=2의 증명은 위 사진처럼 그렇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이번에 한번 '(나름)쉬운' 1+1=2 증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1=2를 증명할 필요가 있나요? 일단 증명의 필요성을 알고 증명을.. 더보기
군론 (4) - 라그랑주 정리와 잉여류 드디어 이번 글에서는 초급 군론의 하이라이트, 라그랑주 정리에 대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라그랑주 정리 (Lagrange Theorem) 정리의 이름이 풍기는 포스와는 달리(일단 이름에서 간지가 철철...) 정리 자체는 간단하며, 나름 직관적입니다. Definition 3.1 유한한 군 \(G\)의 원소의 개수를 군 \(G\)의 차수(order)이라고 하며, \(|G|\)로 표기하도록 한다. Theorem 3.1 (Lagrange Theorem) 유한한 군 \(G\)의 부분군 \(H\)에 대하여, \(|H|\)는 \(|G|\)의 약수이다. 저번 글에서 든 순환군 \(Z_{10}\)의 예시를 보자면, \(Z_{10}\)에서 짝수만을 취한 집합은 부분군을 이뤘으며, 과연 짝수부분군의 원소의 개수는 5개.. 더보기
군론 (3) - 부분군과 생성자 저번에는 대칭군, 순환군, 그리고 정이면체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부분군과 생성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부분군 집합 $G$가 연산 $\circ$에 대해 군을 이룬다고 합시다. 여기서 집합 \(S\)의 부분집합 \(H\)를 생각해 봅시다. 운이 좋으면 \((H, \circ)\)가 또 하나의 군을 이룰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군을 부분군이라고 합니다. Definition 1.1 군 \((G, \circ)\)에 대해, \(H \subset G\)가 군 \((H, \circ)\)를 이룰 때, 군 \(H\)를 군 \(G\)의 부분군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순환군 \(Z_{10}\)을 보겠습니다. 순환군의 집합 \(\lbrace 0, 1, 2, 3, 4, 5, 6, 7, 8, 9 .. 더보기
군론 (2) - 순환군, 대칭군, 정이면체군 저번에 군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정수군을 비롯한 몇 가지 군의 예시와, 군이 아닌 것의 예시를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군론에서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세 종류의 군, 순환군(Cyclic Group), 대칭군(Symmetric Group), 정이면체군(Dihedral Grou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순환군 모듈러 n 덧셈을 아래와 같이 두 수의 합을 n으로 나눈 나머지로 정의하겠습니다. \[ 3 +_{\bmod 5} 4 = 2 \] 다음과 같은 집합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 Z_4 = \lbrace 0, 1, 2, 3 \rbrace \] 이 집합과 \(+_{\bmod 4}\) 연산은 군을 이룹니다. 한 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1) \(Z_4\)의 어떤 두 원소를 합해도 4로 나눈 나머지는.. 더보기
군론 (1) - 군의 정의 안녕하세요, Dimen 입니다. 제가 2개월 전 쯤에 군론에 입덕하고는 꽤 열심히 공부했는데 이제 슬슬 까먹어가기도 하니, 블로그 새로 만든 겸으로 군론에 대한 시리즈 글을 올려볼까 합니다. (정리노트 같은 느낌이라서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이 글은 brilliant.org에서 제공하는 군론 강의를 바탕으로 써짐을 알려드립니다. 1. 군의 배경 우리는 집합이란 개념에는 이미 익숙합니다. 집합이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여러 객체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보기 위함이 그 도입 배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수학이 발전함에 따라 수학자들은 집합의 업그레이드된 버전을 원했습니다. 바로 집합의 원소 하나하나만의 성질을 분석 대상으로 둘 것이 아니라, 이 집합 내의 원소끼리의 상호 작용에 대.. 더보기